TJ_Log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TJ_Log

  • 분류 전체보기 (99)
    • Data Engineering (28)
      • Data Engineering? (2)
      • Hadoop (3)
      • Elasticsearch (0)
      • Redis (4)
      • Spark (6)
      • Kafka (4)
      • Airflow (1)
      • DB (2)
      • 자격증 (6)
    • Data Analysis (2)
      • Machine Learning(ML) (1)
      • NLP (1)
    • Infra (9)
    • ETC (19)
      • Network (1)
      • Linux (4)
      • Algorithm (3)
      • Spring (3)
      • Python (2)
      • Scala (2)
      • Java (3)
      • Javascript (1)
    • Project (9)
    • Trouble shooting (2)
    • Experience (1)
    • Programmers TIL (28)
      • Algorithm (8)
  • 홈
  • 태그
  • 방명록

[Linux] 리눅스 명령어 Systemctl 이란

1. Systemctl이란? - RHEL7(Red Hat Enterprise Linux)에 도입된 systemd(=init system)를 관리하는 명령어다 - /usr/lib/systemd/system 디렉토리의 .service파일을 systemctl 명령어로 Unit을 제어할 수 있다. (Unit = 서비스, 마운트 포인트, 디바이스, 소켓 등을 포괄하는 개념) Systemd 상태 모니터링 명령어 systemctl status : 실행중인 유닛 상태 정보 출력 , control group으로 묶어서 보여줌 systemctl : 로딩된 유닛을 출력, Unit파일 이름/활성화 상태/상세 설명 등 디테일한 정보 제공 (==systemctl list-units) systemctl list-unit-files..

  • format_list_bulleted ETC/Linux
  • · 2022. 5. 26.
  • textsms
[Hadoop] hadoop의 기본개념

[Hadoop] hadoop의 기본개념

1. 하둡이란? 하둡은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처리 해주는 아파치 톱 레벨 오픈소스 자바 프레임워크입니다. 하둡은 대용량 데이터의 배치 프로세싱에 적합하며 만약 데이터의 실시간 엑세스를 원한다면 하둡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하둡의 핵심철학: 코드(가벼움)를 데이터(무거움)가 있는 곳으로 이동 대부분의 경우 데이터의 크기가 소스코드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코드가 있는 곳으로 데이터로를 복사해오는 것보다 데이터가 있는 곳으로 코드를 복사해가는 것이 효율적 2. 하둡의 구성 구분 HDFS MapReduce 마스터 네임노드 잡트래커 슬레이브 데이터노드 태스크트래커 하둡의 분산 파일 시스템인 HDFS와 분산 처리 시스템 MapReduece는 물리적으로 같은 서버들에 공존하는 것이 일반적임, 두 시스템 모두 하나의 마스터..

  • format_list_bulleted Data Engineering/Hadoop
  • · 2022. 5. 18.
  • textsms
Hadoop - HDFS HA QJM(Quorum Journal Manager) 과 NFS(Network File System)

Hadoop - HDFS HA QJM(Quorum Journal Manager) 과 NFS(Network File System)

HDFS HA(고가용성) 하둡 v2부터 HDFS 고가용성(High Availablility)을 제공 HDFS 고가용성은 이중화된 두대의 서버인 액티브(active) 네임노드와 스탠바이(standby)네임노드를 이용해 지원 두개의 노드는 데이터 노드로부터 블록 리포트와 하트비트를 모두 받아서 동일한 메타데이터를 유지하고, 공유 스토리지를 이용하여 에디트파일을 공유 액티브 네임노드는 네임노드의 역할을 수행, 스탠바이 네임노드는 액티브에 문제가 발생하면 스탠바이가 액티브 네임노드로 동작 액티브 네임노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자동으로 확인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보통 주키퍼를 이용해 장애 발동시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함 스탠바이 네임노드는 세컨더리 네임노드의 역할을 동일하게 수행, 따라서 HDFS 고가용..

  • format_list_bulleted Data Engineering/Hadoop
  • · 2022. 5. 18.
  • textsms
Hadoop - CAP 이론

Hadoop - CAP 이론

CAP이론이란? "분산 시스템에서는 3개 속성을 모두 가지는 것이 불가능하다!" Consistency(일관성) : 데이터는 항상 일관성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데이터의 조작 후에도 무결성을 해치지 말아야 한다. 즉, 쓰기 동작이 완료된 후 발생하는 읽기 동작은 마지막으로 쓰여진 데이터를 리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 모든 노드가 같은 시간에 같은 데이터를 보여줘야 한다. (저장된 데이터까지 모두 같을 필요는 없음) Availability(가용성) : 특정 노드가 장애가 나도 서비스가 가능해야 한다. 데이터 저장소에 대한 모든 동작(read, write 등)은 항상 성공적으로 리턴되어야 한다. CAP을 설명하는 문서들 중 오류가 발생했을때 "Fail"이라고 리턴하는 경우도 성공적인 리턴이라고 설명하기도 한..

  • format_list_bulleted Data Engineering/Hadoop
  • · 2022. 5. 18.
  • textsms
[JAVA] JSP Action Tag

[JAVA] JSP Action Tag

JSP Action Tag란 JSP페이지 내에서 어떤 동작을 하도록 지시하는 태그 페이지를 이동하고 include를 하는 플로우 제어와 자바 빈을 생성하고 사용하는데 사용됨 태그 종류에는 Forward, include, useBean, setProperty, getProperty, plugin, param, fallback이 있음 forward forward는 요청받은 것을 다른 자원으로 전달하는 데 사용 입력 시 second.jsp의 페이지가 출력되나 URL은 변경이 안됨 Param forward 액션태그와 param을 이용해 다른 페이지에 데이터를 전달 할 수 있다.

  • format_list_bulleted ETC/Java
  • · 2022. 5. 17.
  • textsms
JAVA Web Servlet과 JSP

JAVA Web Servlet과 JSP

Servlet이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Servlet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이다. (ex 사용자가 로그인 시 입력한 아이디, 비밀번호를 확인 후 다음 페이지를 띄워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해준다. Servelt 동작 방식 1. 사용자가 URL을 입력하면 HTTP Request가 Servelt Container로 전송 2. 요청을 받은 Servlet Container는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 Response 객체 생성 3. Web.xml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요청한 URL이 어느 서블릿에 대한 요청인지 찾음 4. 해당 서블릿에서 service메소드를 호출한 후 클라이언트의 GET, POST여부에 따라 doGet()..

  • format_list_bulleted ETC/Java
  • · 2022. 5. 16.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
  • 13
  • 14
  • 15
  • 16
  • 17
  • navigate_next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99)
    • Data Engineering (28)
      • Data Engineering? (2)
      • Hadoop (3)
      • Elasticsearch (0)
      • Redis (4)
      • Spark (6)
      • Kafka (4)
      • Airflow (1)
      • DB (2)
      • 자격증 (6)
    • Data Analysis (2)
      • Machine Learning(ML) (1)
      • NLP (1)
    • Infra (9)
    • ETC (19)
      • Network (1)
      • Linux (4)
      • Algorithm (3)
      • Spring (3)
      • Python (2)
      • Scala (2)
      • Java (3)
      • Javascript (1)
    • Project (9)
    • Trouble shooting (2)
    • Experience (1)
    • Programmers TIL (28)
      • Algorithm (8)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 #docker
  • #data engineering associate
  • #자격증
  • #Kafka
  • #spark
  • #dea
  • #scala
  • #RDB
  • #db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